안녕하세요~
두 딸아이 아빠 이니스입니다.
와이프가 집에서 약 30분 거리에 있는 '국립익산박물관 어린이박물관'에 예약을 해두었다고 하여 두 딸아이와 함께 방문을 해보았습니다. 국립익산박물관은 역사책을 공부하다 보면 백제시대의 석탑으로 유명한 미륵사 5층 석탑과 그 주변의 미륵사 터를 배경으로 그곳에서 발견된 유물 등을 보관, 전시하고 있었습니다. 다른 지역의 어린이박물관과 유사하게 관람 시간대별 인원을 제한하고 있어서 자유롭게 관람하는 것은 어려웠지만 예약한 사람들은 충분히 보고 즐기고 체험할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을 제공하였습니다.
그럼 두 딸아이와 함께 미륵사를 배경으로 한 '국립 익산 박물관 어린이박물관'에 다녀온 이야기를 소개해 드립니다.
1. 국립익산박물 어린이박물관
국립익산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은 전북 익산시 금마면 미륵사지로 362에 자리 잡고 있으며 전주와 익산 중간에 있습니다. 호남고속도로에서 익산 I.C에서 약 20분 거리에 있어 접근성이 용이합니다.
방문 당일에는 '익산 백제 국가 유산 야행' 행사가 진행 중이어서 대형 전세버스들이 몇군데를 순환하고 있었으나 축제나 행사 기간을 제외한 평일이나 주말에 방문하신다면 자차를 이용하여 손쉽게 방문해 보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우측으로는 미륵사지 터와 미륵사지 5층 석탑이 있었고, 좌측에는 국립익산박물관이 있어서 다소 무거운 느낌을 주는 공간이었으나 입구의 알록달록한 색상과 모양으로 디자인된 조형물은 아이들을 반갑게 맞이해주고 있었습니다.
어린이박물관은 회차별 40명씩 1인이 5인까지 예약하여 5회차까지 구분하여 예약, 관람을 할 수 있습니다. 회차별 이용 시간은 50분이며 단체관람은 평일(수~금) 15~30일 전까지 예약해야 이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또한 예약 시간에 취소분이 나오는 경우 선착순으로 현장 발권을 통해 관람, 입장이 가능합니다.
어린이 박물관 예약 사이트 주소는 아래와 같으니 참고하셔서 원하는 날짜와 회차에 예약을 해보세요.
https://iksan.museum.go.kr/ismchild/html/sub01/010301.html?mode=L&year=2025&mon=04&day=22#btn-box
익산어린이박물관
2025년 04월 이전달 다음달 2025년 04월 프로그램 일정입니다. 원하는 날짜를 클릭 시 해당 날짜의 프로그램 일정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
iksan.museum.go.kr
2. 주요 내용
백제 무왕(재위 600~641년)과 왕비가 사자사로 가던 길에 미륵삼존이 연못에서 출현하는 신비로운 경험을 한 뒤, 왕비의 발의로 이 연못을 메우고 사찰을 창건했다 전해지는 동아시아 최대 규모의 사찰 중 하나인 미륵사와 백제시대의 목탑에서 석탑으로 넘어가는 시기의 기술을 보여주는 미륵사지 5층 석탑을 복원하면서 발견된 보물 등을 보관, 전시하는 국립익산박물관의 바로 옆에 '어린이박물관'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특히 어린이박물관은 역사와 유물에 다소 생소함을 느낄 수 있는 어린이들이 친숙하고, 편안하고, 흥미를 가지고 접근할 수 있게 다양한 볼거리, 체험 거리 등을 제공하고 있었습니다.
2.1 박물관 대기 공간
입구를 들어서면 안내 데스크가 있고 우측으로 키오스크가 있습니다. 이곳에서 예약자 이름으로 방문을 확인 해주고 관람 시작 전까지 잠시 대기를 해야 했습니다. 박물관 관람 대기 공간에는 벽과 천정에 어린이박물관의 마스코트인 '도솔'이가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를 해주며 아이들의 흥미를 높여주고 있었고, 우측에는 앙증맞은 의자와 함께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 주었습니다. 또 관람 시작 전 아이들이 대소변을 볼 수 있는 화장실이 있으니 관람 시작 전에 들러 아까운 관람 시간을 아껴주면 좋을 듯합니다.
안내 데스크에는 사진과 같이 어린이박물관 이용규칙과 내부 전시장의 관람 시설물에 대한 소개나 나와 있으니 참고하여 무엇을 보고 어떤 것을 체험할지 미리 알고 들어가면 좋을 듯합니다.
2.2 석탑 속 사리장엄
관람 시간이 되어 들어가면 첫 번째로 마주 보는 것이 '석탑 속 사리장엄'이었습니다. 미륵사지 5층 석탑을 분해할 때 발견된 보물을 살펴보고 소망을 적어 사리장엄에 봉안하면 그 모습이 홀로그램으로 만나볼 수 있는 체험이었습니다. 아이들도 자신의 소망을 적고 싶다고 글자를 알려달라고 자꾸 재촉하며 '초코가 살아서 움직이게 해주세요'라는 소망을 적어서 봉안해 봅니다. (집에 있는 토끼 인형의 이름이 초코입니다.)
2.3 목탑에서 소망빌기
체험장 중앙에는 미륵사지 석탑을 모형으로 제작해 둔 것을 만나 볼 수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가운데 소원을 누르고 바닥의 빛을 따라 탑 주변을 원형으로 3바퀴 돌면서 소원을 빌어 볼 수 있습니다. 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종소리가 들리면서 경건한 분위기를 자아내주었습니다. 아이들도 서로 소원을 빌어보겠다며 두 손을 고이 모아 빛을 따라 3바퀴를 돌면서 자신들 소원을 빌어보았습니다.
2.4 금당 완성하기
탑을 기준으로 양옆으로는 미륵사의 금당을 직접 만들어 볼 수 있는 자석이 있었습니다. 기와지붕으로 만들어진 금당은 지붕 끝에 '치미' 장식이 있었고, 기와지붕을 떠받드는 나무 기둥이 있었습니다. 어떤 구조로 옛 건축물이 지어졌는지 구조를 알 수 있는 체험 시설이었습니다.
2.5 동탑에서 퍼즐 맞추기
탑의 오른쪽에는 미륵사지 동탑의 기둥 부분을 퍼즐로 맞추어 그 구조를 파악해 볼 수 있는 체험 시설이 있었습니다. 퍼즐에 적힌 숫자와 바닥 면 그리고 기둥 면의 숫자를 서로 맞추다 보면 어느새 탑을 쌓아 올린 석공이 되어감을 느껴볼 수 있었습니다. 참고로 탑의 구조물은 어린아이들이 들기에는 다소 무거워 보여 함께 간 부모님들이 옮겨 주어야 했습니다.
2.6 시간의 다리
미륵사에 대한 역사와 출토된 유물의 설명이 적힌 글을 읽으며 시간의 다리를 걷다 보면 하얀 용지에 보물에 색깔을 칠해 볼 수 있는 계단 공간을 마주하게 됩니다. 신발을 벗고 계단에 자리를 잡고 그 옆에 비치된 색연필로 마음에 드는 보물의 색상을 칠해보면서 나만의 보물을 가질 수 있는 소중한 경험을 해볼 수 있습니다.
2.7 발견 석탑 속 보물
이 체험 공간에서는 사리장엄을 출토했던 당시의 모습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었습니다. 동작을 인식하는 센서와 스크린을 이용하여 두 사람이 한 팀이 되어 안내 설명에 따라 총 4번의 돌을 옮기면 사리장엄의 모습을 직접 볼 수 있는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이곳에는 안내를 해주는 분이 계시고, 각 체험하는 사람들에게 직접 안내와 도움을 주어 신속하고 정확한 체험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습니다.
3. 이니스의 총평
가깝고도 멀게만 느껴졌던 공간이었습니다. 학생 시절 석탑의 한쪽이 일제 강점기 시기에 시멘트로 발라져 유물로서의 가치를 많이 훼손되었던 미륵사지 5층 석탑을 역사책으로만 보고 느끼고 있었는데 실제 그 위용을 바라보며 과거의 찬란했을 것으로 예상되는 옛 선인들의 삶을 상상해 볼 수 있었습니다. 또한 어린이박물관을 체험하며 아이들이 어려운 역사를 더 친숙하고 가깝게 느낄 수 있어서 참 좋은 기회였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지금 두 딸아이는 아무것도 모르고 체험과 보이는 것이 신기하다고 느끼겠지만 나중에 어른이 되어가면서 역사를 배우고 '아! 예전에 가서 봤던 게 나왔네?'라는 기억을 남겨줄 수 있어서 뜻깊은 방문이었다고 생각되었습니다. 집과 30분 거리였는데 이곳을 방문하는 데 걸린 시간은 이니스에게 30년의 세월이 흘렀다고 생각되니 두 딸아이와 더 많은 곳을 방문하고 많은 것을 체험하고 느낄 수 있게 해줘야겠다는 생각을 갖게 해주었습니다.
그 시절 그곳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궁금하시다면
'국립익산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을 찾아 궁금증을 해결해 보세요.
내가 알지 못했던 역사의 순간에 서 있게 되는 소중한 경험을 하게 될 것입니다.
'#. 나의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 거리] 전북 고창, 고창 청보리밭 축제에 구경 가봐요. (1) | 2025.04.25 |
---|---|
[가볼 거리] 전북 익산, 미래교육 체험을 위한 유아교육진흥원 방문기 (1) | 2025.04.23 |
[가볼 거리] 전북 전주, '슈퍼거북 슈퍼토끼' 공연 관람기 (0) | 2025.04.21 |
[먹 거리] 전북 전주, 사계진미, 숯불 닭갈비 전문 식당 방문기 (1) | 2025.04.18 |
[정보 거리] 전북 임실, 성수산 왕의 숲 자연휴양림을 구경 가봐요. (2) | 2025.04.18 |